FUN 법 리스트

세계 각국의 법정 연차일수 규정

레알징구 2025. 5. 16. 16:04
반응형

여행가방에-여러나라의-스티커가-붙어있음
세계 각국의 법정 연차일수 규정

 

대한민국

우리나라에서 법으로 정해진 연차일수는 연간 15일입니다. 다만, 이는 근로자가 1년 동안 전체 근무일수 중에서 80% 이상에 해당하는 일수를 출근했을 때 한하여 지급됩니다.

 

그리고 3년 이상 근속한 사람에게는 2년마다 1일의 유급휴가를 연차일수에 가산해 주어야 합니다.(최대 25일까지)

 ■ 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 2. 1.>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 2. 1.>

③ 삭제 <2017. 11. 28.>

④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제1항에 따른 휴가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

⑤ 사용자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를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주어야 하고, 그 기간에 대하여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하는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휴가를 주는 것이 사업 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시기를 변경할 수 있다.

⑥ 제1항 및 제2항을 적용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간은 출근한 것으로 본다. <개정 2012. 2. 1., 2017. 11. 28., 2024. 10. 22.>
1. 근로자가 업무상의 부상 또는 질병으로 휴업한 기간
2. 임신 중의 여성이 제74조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로 휴업한 기간
3.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9조 제1항에 따른 육아휴직으로 휴업한 기간
4.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9조의 2 제1항에 따른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사용하여 단축된 근로시간
5. 제74조 제7항에 따른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을 사용하여 단축된 근로시간
⑦ 제1항ㆍ제2항 및 제4항에 따른 휴가는 1년간(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의 제2항에 따른 유급휴가는 최초 1년의 근로가 끝날 때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된다. 다만,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20. 3. 31.>

※ 참고: 공무원 휴가규정(연가, 병가, 공가)

 

공무원 휴가규정(연가, 병가, 공가)

연가 공무원은 재직기간별로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연가 일수가 다른데, 중국적으로는 최대 21일까지 연가를 쓸 수 있게 됩니다.(국가공무원 복무규정 제15조) 다만, 재직기간 중 발생한 , , 사유

jingoo.tistory.com

 

외국의 연차규정

법제처에서 운영하는 세계법제정보센터에서는 세계 주요 나라들의 법정 연차일수에 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해외사례와 비교해 봤을 때 우리나라의 연간 유급휴가 일수는 크게 부족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 미국
- 기준근거가 되는 <공정근로기준법>에서 유급휴가 일수에 관한 규정이 없어 사용자와 근로자 간의 합의로 연간 유급휴가 일수가 결정
- 연간 평균 유급휴가 일수는 15일(2017년 미국 노동통계국)
■ 인도네시아
- 동일 사업장에서 근로자가 12개월 연속으로 근무하면 연간 12일의 연차를 지급
- 같은 회사에서 6년 이상 근무하면 7년 차, 8년 차에 각각 1개월의 장기휴가를 제공
■ 캐나다
- 1년 이상 근무한 사람에게 2주의 유급휴가를 보장
- 6년 이상 근속한 자에게는 3주의 유급휴가를 제공
■ 베트남
- 연간 12일의 유급휴가 지급
- 5년마다 1일의 연차일수 추가
■ 우즈베키스탄
- 연간 15일의 연차가 제공되며 근로자의 연령 및 건강상태에 따라 추가 유급휴가도 지급 가능

※ 참고: 2025년 지역별 아파트 노후도 랭킹

 

2025년 지역별 아파트 노후도 랭킹

서울특별시서울시에서 아파트 노후도가 가장 심각한 곳은 중구로써 평균연식이 무려 52.7년에 달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용산구(43.3년), 서대문구(41.0년)가 각 2,3위를 차지했는데 이들 또한 평균

rlasbtm.tistory.com

■ 일본
- 6개월 이상 근무한 사람의 출근일 수가 전체 근로일수의 80% 이상일 경우 연간 10일의 연차를 지급
■ 사우디아라비아
- 연간 21일 이상의 유급휴가가 제공
- 잔여 연차일수는 이듬해로 유예 가능
■ 태국
- 1년 이상 근무하면 최소 6일의 연차를 지급
■ 중국
- 1년 이상 10년 미만 근무 시: 5일
- 10년 이상 20년 미만 근무 시: 10일
- 20년 이상 근무 시: 15일
■ 스페인
- 1주마다 1.5일의 유급휴가가 적립되며 연간 최대 14일까지 누적 가능

※ 참고: 2025년 전국 아파트 노후도 순위

 

2025년 전국 아파트 노후도 순위

시도별 아파트 노후도 순위전국 광역 지자체 단위별로 아파트 노후도가 가장 심한 곳은 전라남도로써 아파트(나 홀로 아파트 포함) 평균 노후도가 무려 40.1년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road2ace.tistory.com

 

세계 연차일수 도표 정리

국가명 연차일수
대한민국 15일
미국 15일
인도네시아 12일
캐나다 2주/3주
베트남 12일
우즈베키스탄 15일
일본 10일
사우디아라비아 21일
태국 6일
중국 5일/10일/15일
스페인 14일

※ 출처: 세계법제정보센터

반응형